대학원 과정/해석학 (5) 썸네일형 리스트형 3.3 미분의 적분 여기서는 $[a,b]\to \mathbb R$만 고려한다. 먼저 Bounded Variation인 function BV function을 탐구한다. BV function의 정의는 $T(a,x) 3.3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. 먼저 BV function의 기본적인 성질은 다음과 같다.BV function은 increasing bounded function의 차이다.Increasing bounded function은 a.e. 관점에서 미분가능하다.그러므로 BV function은 a.e. 미분가능하다.만약 BV function이 Continuous일때는,$\int_a^x F'(x)dx\leq F(b)-F(a)$등식이 성립하지 않는 예시가 존재한다. (칸토어 르벡 함수)등식이 성립 iff $F$가 Absol.. 2. Integration Theory 1. 적분의 정의 적분을 4가지 Step으로 정의한다. 1. Simple function $$\int \sum a_k\chi_{E_k} = \sum a_km(E_k)$$ 2. Bounded function with finite measure support $$\int f = \lim_{n\to\infty}\int\phi_n(x)dx$$ 3. Nonnegative function $$\int f dx = \sup_g\int g(x)dx$$($0\leq g\leq f$, $g$ bounded & supp on finite measure ) 4. General $$\int f dx = \int f^+dx - \int f^-dx$$ (5. Complex valued) $$\int u+iv = \int u +i\.. 3.2 Kernel과 Approximate Identity 이전 글에서 보였던 Averaging Function은 Convolution과 비슷하다. $$\begin{align*}\int_{B(x)} f(y)dy&=\int f(y)\chi_{B(x)}(y)dy\\&=\int f(y)\chi_{B(0)}(x-y)dy\\&=(f\ast \chi_{B(0)})(x)\end{align*}$$ 여기서 Motivation을 얻어, 다음 Convolution의 성질을 특히 Kernel과 관련지어서 알아보자.$$(f\ast K_\delta)(x)=\int f(x-y)K_\delta(y)dy$$ 위에서 Kernel이라 불리는 함수모임 $\{K_\delta: \delta >0\}$은 맥락에 따라 다르지만, 핵심적으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함수모임이다. $$f\ast K_\delta .. 3. 1 적분의 미분 보통 고등학교 때 배우는 미적분학에서는 적분과 미분이 서로의 역연산임을 다룬다. 이를 다변수 르벡적분의 관점에서다시 서술할 수 있을까? 먼저, 적분하고 미분하는 연산을 다음과 같은 의미로 받아들이자. $$x\mapsto \lim_{m(B)\to 0}\frac{1}{m(B)}\int_B f(x-y)dy$$ 위 함수가 $f$랑 동일할까? Lebesgue Differentiation Theorem은 적분가능한 함수 $f$에 대해 a.e. 관점에서 두 함수가 동일함을 알려준다. (사실 위 연산을 Averaging 이라고도 볼 수 있다.) 앞의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다음 Hardy-Littlewood Maximal funtion$$f^\ast(x)=\sup_{B}\frac{1}{B}\int_B|f(x-y)|dy.. 1. Measure Theory Stein Real Analysis의 내용 1장을 요약한다.1. 외측도 $m_\ast$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 $$m_\ast(E)=\inf \sum^\infty |Q_j|$$ 여기서 $Q_j$들은 $E$의 closed rectangular cover이고 $|Q|$는 그 넓이. 외측도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. $$E_1\subset E_2 \implies m_\ast(E_1)\leq m_\ast (E_2)$$ $$m_\ast\left(\bigcup^\infty E_i\right)\leq \sum ^\infty m_\ast(E_i)$$ $$m_\ast(E)=\inf_{E\subset\mathcal O}m_\ast(\mathcal O)$$ 아래는 특정 조건에서 Additivity가 성립함을 보여준다. $$d.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