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oading [MathJax]/jax/output/CommonHTML/jax.js
본문 바로가기

교양 수학/미적분학

?. 벡터

 

김홍종 미적분학에서는 벡터를 시점과 종점이 정해진 유향선분의 equivalent class로 정의한다.

 

Equivalent class는 upto 평행이동이다.

 

Tv:RnRn

XX+v

 

기본연습문제 1.0.1은 평행이동의 모임이 Aut(Rn)의 아벨부분군임을 보이는 문제이다. 이 논의가 나중에 어디에 쓰이는지는 아직 1학년에게 너무 이른 떡밥?

 

이제 평행이동 Tv가 점 뿐만 아니라 유향선분들까지 이동시키는 것으로 간주하면, 유향선분들 끼리의 equivalent class를 만들 수 있고 따라서 벡터를 정의할 수 있다.

 

그래서 벡터에는 시점도 없고 종점도 없다. 하지만 편의상 시점을 원점으로 생각하면, 다음과 같은 관계를 얻는다.

 

pointvectortranlsation

 

단순 1-1 대응일 뿐 아니라 구조까지 보존하는 대응이다. (더하기, 합성)

 


벡터의 크기

|v|=v21++v2n

으로 정의한다. 비슷하게 벡터 사이의 거리는 

|vw|

로 정의한다.

 

앞으로 편의상 i,j,k를 3차원에서의 표준단위벡터

(1,0,0),(0,1,0),(0,0,1)

으로 두기로 한다.

 

만약 3차원이 아니라 n차원이면 표준단위벡터

e1,,en

으로 둔다.

 


벡터의 내적은 벡터의 크기와 큰 관련이 있다.

 

Rn×RnR

ab=a1b1++anbn

 

내적은 이중선형사상이다.

또한, aa=|a|20이다.

 

한편, a를 고정시키면 

RnR

xax

라는 선형사상을 얻는데, 이 선형사상의 rank는 항상 1이다. (Unless a=0)

(굉장히 중요한 떡밥이기도 하다..)

 


벡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때, 앞으로 내적을 많이 활용할 것이다. 예를 들면 벡터 b의 벡터 a로의 정사영

pa(b)=abbba

이다.

 

또 기하학적 직관을 이용한다면 각도에 관한 다음 식을 얻는다.

ab=|a||b|cosθ

 


 

다음은 내적과 관련된 부등식 중 가장 중요한 부등식이다. (CBS 부등식)

|ab||a||b|

 

물론 다음 부등식도 굉장히 중요하다. (삼각 부등식)

|a+b||a|+|b|

 


 

Codimension 1인 아핀 공간을 (초)평면이라 부른다. 평면은 평면 속의 한 점 P와 그 평면에 수직인 방향 a에 의하여 결정된다. 즉 X에 대한 식

a(XP)=0

을 평면의 방정식이라 한다.

 

Q. 점 Q와 평면 a(XP)=0 사이의 거리는?

A. |a(QP)||a|

 


Dimension 1인 아핀 공간을 직선이라 부른다. 직선은 직선 속의 한 점 P와 직선에 평행한 벡터 v에 의하여, t에 대한 다음 식으로 결정된다.

X=X(t)=P+tv

 

이때 t를 매개변수라고 부른다.

'교양 수학 > 미적분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? 행렬.  (0) 2024.04.29
?. 일차독립과 일차종속  (0) 2024.04.22
3. 거듭제곱급수  (0) 2024.04.16
2. 급수  (0) 2024.04.16